본문 바로가기
Background
개발/JS

[kakao] 주소 검색 템플릿

by BellRiver_Lee 2025. 8. 1.

바쁜 사람을 위한 코드 먼저:

See the Pen Untitled by BellRiver (@orugpbqu-the-solid) on CodePen.


주소 입력 기능:

최근 진행한 프로젝트에서 사용자의 주소를 입력받는 기능을 구현하였습니다..

최종적으로 두 가지 무료 서비스가 후보로 올라왔습니다. (도로명주소, 카카오)
둘 모두 써보고 간단하게 장단점을 적은 후, 결론적으로 카카오 주소를 선택한 이유를 적어보겠습니다.

  1. 도로명주소(정부)
    https://business.juso.go.kr/addrlink/openApi/apiExprn.do
  2. 카카오(다음)
    https://postcode.map.daum.net/guide

도로명주소(정부):

장점:

  • 디자인 커스텀 가능.
    자사 로고 삽입 가능.
  • 팝업뿐만 아닌 검색 API 지원.
  • 주소의 상세한 출력 유형 선택 가능.
  • 영문 지원.

단점:

  • PC, 모바일 별도 CSS 수정 필요.
  • 복잡한 커스텀.
    CSS 페이지를 웹에 업로드해야 합니다.
  • API 발급 필요.
  • 아쉬운 기본 디자인.
  • 본인 확인(사업자 등록증) 필요.

 

카카오(다음):

장점:

  • API 필요 없음.
    코드만으로 바로 적용 가능.

단점:

  • 제한적인 커스텀.

예전에는 도로명주소 서비스를 많이 볼 수 있었지만,
최근에는 쿠팡 등 대기업 서비스들도 카카오 주소 검색을 많이 사용하는 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.

 

개인적으로는 무엇보다 편리함으로 인해 카카오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.

카카오라는 이름값도 심리적으로 안정적으로 다가오며, 
API를 발급받을 필요도 없고, 본인 확인도 필요 없습니다.

다양한 커스텀이 가능한 도로명주소 서비스를 사용해도 좋지만,
작은 기능에는 시간을 덜 쓰고, 좀 더 메인 기능에 집중하고 싶은 니즈에 딱 알맞았습니다.

개개인적인 추천으로는 카카오의 주소검색 서비스가 사용성과 접근성 부분에서 더 높은 만족감을 주었습니다.

728x90
반응형